국립환경과학원 +Pride

통합검색

트렌트 키워드

인기검색어

  1. 검색어가 없습니다.

연구분야

환경자원

환경자원연구

자원순환사회 실현

자원순환 및 재활용 연구
폐자원 에너지 연구
미래 폐자원 연구
토양·지하수 환경 연구

조직도 및 연락처
  • 연구부서 소개

    환경자원연구부
    Environmental Resource Research Department

    환경자원연구부는 4과로 구성되어 있으며, 폐자원의 안전한 순환이용을 위한 재활용 관련 유해성 기준을 마련하고, 유해폐기물 관리체계 등 폐기물 법·제도 개선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가연성/유기성폐기물의 폐자원에너지화를 통한 대체에너지 전환 및 이용기술 개발과 폐기물처리시설 검사제도 관련 법적 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폐기물의 친환경 순환이용 활성화를 통한 온실가스의 감축 및 지속 가능한 자원의 관리 체계 구축 등 미래폐자원의 순환기반 마련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토양 및 지하수 환경 최적관리를 위하여 오염토양의 평가 및 관리체계를 개선하고 지속 가능한 지하수관리 체계를 구축하는 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으며 토양지하수정보시스템 운영 및 최적 활용을 통해 효율적 관리기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소속부서
    • 자원순환연구과(FAX: 032-568-1656)
    • 환경에너지연구과 (FAX: 032-568-1658)
    • 미래폐자원연구과(FAX: 032-568-1656)
    • 토양지하수연구과(FAX: 032-563-4102)
  • 자원순환연구과
    Resources Recirculation Research Division

    자원순환연구과는 순환자원 이용 확대를 위해 폐기물의 발생, 분류 및 처리 등 폐기물의 전과정(full life cycle)에 대하여 적정관리체계 마련을 위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재활용환경성평가제도를 운영하여 국내 폐기물 재활용 신기술의 실용화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수은함유폐기물, 의료폐기물 등의 유해폐기물은 유해특성(hazardous characteristics)을 고려하여 폐기물 처리단계에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관리방안 마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최근 전지구적 환경 현안으로 고려되는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과학적인 관리체계 마련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환경자원연구분야 성과에 대한 국제적 동등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OECD 국제 협약 대응, 프랑스·일본과의 양해각서 체결을 통한 공동 연구 추진, 국제 표준(ISO) 제정 등의 국제협력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주요업무
    • 폐기물의 분류 및 발생특성에 관한 연구
    • 제품의 자원순환성 향상 및 전과정 평가에 관한 연구
    • 물질흐름 및 폐자원의 순환이용에 관한 연구
    • 폐자원, 중간생성물 및 재활용제품의 유해성 평가에 관한 연구
    • 폐기물의 재활용 유형, 기준, 방법에 관한 연구
    • 폐기물공정시험기준에 관한 연구
    • 폐기물의 수집, 운반, 보관, 처리 기준에 관한 연구
    • 재활용환경성평가 관련 기관 지정 및 승인 업무
    • 폐기물 분야 국제협력 업무 지원을 위한 연구
    • 그 밖에 환경자원연구부 내 다른 과의 주관에 속하지 아니하는 사항
  • 환경에너지연구과
    Environmental Energy Research Division

    환경에너지연구과는 폐기물로부터 얻어지는 폐자원에너지인 고체, 액체, 기체연료와 폐기물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각열, 바이오가스 등과 같은 바이오에너지를 생산하고 열원(온수, 증기)이나 전기 등을 회수하는 연구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폐기물의 안정적 처리를 위한 폐기물처리시설 운영·관리 기준 등을 제시함으로써,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지속 가능한 환경에너지 사용을 촉진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주요업무
    • 폐자원 및 바이오에너지의 생산·회수 및 이용에 관한 연구
    • 유기성폐자원의 바이오가스화 기술 및 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 환경에너지 생산·회수시설의 설치·관리 기준에 관한 연구
    • 폐기물처리시설의 발생가스 특성 및 이산화탄소 포집·저장 등에 관한 연구
    •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관리 기준 및 성능평가 기술에 관한 연구
    • 폐기물처리시설 검사기관 지정 및 사후관리 업무
    • 소각시설의 에너지 회수효율 검증 및 인증 업무
    • 유기성 폐자원의 발생량, 회수계수 및 바이오가스 생산계수 업무
  • 미래폐자원연구과
    Emerging Waste to Resource Research Division

    미래폐자원연구과는 전기자동차 폐배터리, 태양광 폐패널, 풍력 발전 폐블레이드 등 신재생에너지 생산활동에서 기인한 폐기물과 AI, 로봇 등 새로운 유형의 디지털 제품과 같이 향후 발생이 예측되는 폐기물의 친환경 순환이용 활성화를 통한 온실가스의 감축 및 지속 가능한 자원의 관리 체계 구축 등 미래폐자원의 순환기반 마련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플라스틱의 전주기 관리체계 구축, 대체 플라스틱 제품(원료) 등 미래폐자원의 처리시스템 개발 및 환경 중 미세플라스틱의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하여 대내적으로는 국내의 플라스틱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고 대외적으로는 플라스틱 국제협약을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연구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주요업무
    • 미래폐자원의 발생특성ㆍ성상에 관한 연구
    • 미래폐자원의 재사용 및 재활용 촉진에 관한 연구
    • 중간가공폐기물의 순환이용성 확대에 관한 조사ㆍ연구
    • 플라스틱 폐기물의 안전관리ㆍ발생 저감 및 순환성 향상에 관한 연구
    • 대체 플라스틱 제품 안전성 평가 및 관련 폐기물의 적정 처리에 관한 연구
    • 미세플라스틱의 발생 및 환경오염에 관한 조사ㆍ연구
    • 폐기물분석전문기관의 지정ㆍ관리에 관한 사항
    • 폐기물의 국가간 이동에 관한 연구
    • 국제 플라스틱 협약 및 바젤협약에 관한 연구
  • 토양지하수연구과
    Soil and Groundwater Research Division

    토양지하수연구과는 토양·지하수 기준 선진화 및 위해성평가 활성화 기반 마련 연구, 토양·지하수 오염취약지역 관리방안 연구, 지하수 유역관리 기반 마련 연구, 토양·지하수정보시스템(SGIS) 운영·개선 및 측정망 결과 등 검증·평가·분석 등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주요업무
    • 토양의 오염현상 규명 및 유해물질의 잔류특성에 관한 조사·연구
    • 지하수의 오염현상 규명 및 오염방지기술 개발에 관한 조사·연구
    • 오염토양 및 지하수의 정화기술 개발에 관한 조사·연구
    • 토양오염 관련 기준 및 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의 표준화 및 제·개정에 관한 조사·연구
    • 지하수 수질의 기준 및 시험방법에 관한 연구
    • 토양 · 지하수에 관한 환경통합관리 조사·연구
    • 농약, 폐광산 등에 의한 토양·지하수 환경오염영향평가 및 오염방지에 관한 조사·연구
    • 토양·지하수 통합정보시스템 운영에 관한 사항
    • 토양 · 지하수에 관한 위해성평가 조사·연구
    • 토양관련전문기관(위해성평가) 지정·관리에 관한 업무
    • 토양·지하수분야 한국산업표준 제·개정에 관한 연구 및 국제표준화 협력
  • 연구과제

    • 지하수관리 문제점 분석 및 해결방안 도출 연구(2023)
      소속부서 환경자원연구부 - 토양지하수연구과
      (舊) 환경기반연구부 - 토양지하수연구과
      연구기간 20230425 ~ 20231121
    • 가축 매몰지 주변 지하수 수질관리방안 연구(2023)
      소속부서 환경자원연구부 - 토양지하수연구과
      (舊) 환경기반연구부 - 토양지하수연구과
      연구기간 20230401 ~ 20231117
    • 상수도 미보급지역 안심지하수 수질조사(2023)
      소속부서 환경자원연구부 - 토양지하수연구과
      (舊) 환경기반연구부 - 토양지하수연구과
      연구기간 20230308 ~ 20231103
    • 소각열에너지 회수효율 산정인자 개선방안 연구(Ⅱ)
      소속부서 환경자원연구부 - 환경에너지연구과
      (舊) 환경자원연구부 - 폐자원에너지연구과
      연구기간 20230101 ~ 20231231
    • 유기성 폐자원의 바이오가스 생산목표 설정 연구 - 유기성 폐자원 발생량 및 바이오가스 회수.생산계수 산정
      소속부서 환경자원연구부 - 환경에너지연구과
      (舊) 환경자원연구부 - 폐자원에너지연구과
      연구기간 20230101 ~ 20231231
    • 남극특별보호구역 환경시료의 초저온 저장 및 오염물질 모니터링 활용연구(II)
      소속부서 환경건강연구부 - 환경보건연구과
      (舊) 환경자원연구부 - 자연환경연구과
      연구기간 20230101 ~ 20231231
    • 유해물질의 매체·수용체간 먹이망 연계이동 특성 연구(Ⅲ) - 조류 알의 잔류성오염물질 축적 -
      소속부서 환경건강연구부 - 환경보건연구과
      (舊) 환경자원연구부 - 자연환경연구과
      연구기간 20230101 ~ 20231231
상하수도연구과 Water Supply and Sewerage Research Division

상하수도연구과는 선진화된 상하수도 수질관리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기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화학물질 사용증가에 따른 수질오염으로부터 먹는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물환경에서의 검출정도, 위해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선진화된 먹는물 수질기준/감시항목 설정을 위한 연구와 안전한 수돗물 공급을 위해 정수처리기준, 수처리 기술, 수처리제 기준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먹는물에서의 병원성 미생물 감시 및 항생제 내성균 조사 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으며, 하수관리 선진화를 위해 유역하수도를 고려한 방류수 수질기준, 수질유해물질 관리방안 마련 및 하수 최적처리기술 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다.

주요업무
  • 먹는물 정수처리 기준 및 처리기술 등에 관한 조사연구
  • 상하수도 관망시스템에 관한 조사·연구
  • 환경미생물의 제반 기준 및 공정시험기준 제·개정에 관한 조사·연구
  • 먹는물 오염사고 대응 및 원인규명에 관한 조사·연구
  • 환경 중 유해미생물 거동특성 및 오염방지에 관한 조사·연구
  • 수돗물·먹는샘물·먹는물공동시설 등 먹는물의 수질 기준 및 공정시험기준 제·개정에 관한 조사·연구
  • 수도기자재 위생안전기준, 수처리제 및 정수기 규격기준 및 시험방법에 관한 조사·연구
  • 먹는물수질(바이러스 및 원생동물 분야), 수처리제, 정수기성능검사기관 지정 관리
  • 하수처리 기준 및 하수처리 기술개발에 관한 조사·연구
  • 중수도 및 하수 재이용 등 물 재이용에 관한 조사·연구
  • 하수배출 특성에 관한 조사·연구
환경측정분석센터 Environmental Measurement and Analysis Center

환경측정분석센터에서는 환경분야 시험·검사 결과의 신뢰를 확보하기 위하여 환경시험·검사기관을 대상으로 표준시료의 분석능력에 대한 숙련도 시험과 ISO/IEC 17025를 기반한 정도관리 시스템을 확립·시행하고 이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평가하는 정도관리 제도를 운영 중이며, 환경분야 국가표준(KS) ·국제표준(ISO) ·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의 제·개정 및 환경측정기기의 구조·규격·성능에 대한 형식승인 및 정도검사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폐기물·잔류성유기오염물질·악취 등의 환경시험·검사 전문기관 지정(인정)업무와 환경연구전략장비 운영 및 환경동위원소비를 이용한 환경과학수사연구 기반 조성 등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주요업무
  • 환경시험·검사기관의 국제기준(ISO/IEC 17025&17043) 적합성 확보 및 정도관리 선진화
  • 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의 제·개정 총괄
  • 환경측정기기의 형식승인 및 정도검사
  • 환경연구 전략장비를 활용한 오염물질 탐색 및 추적 연구
  • 폐기물, 잔류성유기오염물질, 악취 등 환경시험·검사전문기관 지정(인정)제도의 운영
  • 환경분야 국제기준 적합성과 동등성 확보를 위한 국가표준(KS) 운영 및 국제표준(ISO) 대응
토양지하수연구과 Soil and Groundwater Research Division

토양지하수연구과는 토양·지하수오염으로 인한 사람의 건강 및 생태계 피해방지를 위해 각종 유해물질에 대한 토양·지하수 오염특성을 파악하고 오염물질의 토양·지하수중 거동을 평가하여 위해성에 근거한 토양·지하수 오염기준 설정 및 시험방법 마련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오염취약지역에 대한 토양·지하수오염 실태조사와 오염된 토양·지하수의 정화기술 개발 및 평가 등에 관한 연구, 토양지하수정보시스템(SGIS) 운영 및 고도화를 위한 개발 업무 등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주요업무
  • 토양·지하수 오염현상 규명 및 토양·지하수내에서의 오염물질의 거동에 관한 조사·연구
  • 토양·지하수 오염방지·정화기술 개발에 관한 조사·연구
  • 토양·지하수 수질 관련 기준 설정 및 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등 관한 조사·연구
  • 토양·지하수수질에 관한 환경통합관리 조사·연구
  • 농약, 폐광산 등에 의한 토양·지하수 환경오염영향평가 및 오염방지에 관한 조사·연구
  • 토양·지하수 정보시스템 운영 및 고도화를 위한 연구개발
  • 토양·지하수 인체·생태위해성평가에 관한 조사·연구 및 위해성평가기관 지정에 관한 업무
  • 토양·지하수 측정망 결과 평가 및 검증에 관한 업무
  • 골프장 농약 사용량 및 잔류량 결과 평가 및 검증에 관한 업무
  • 토양침식방지, 표토 활용 및 토양 산성화에 관한 연구
  • 토양·지하수 중 자연방사성물질에 관한 조사·연구
  • 토양 분야 환경측정기기 형식승인에 관한 업무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 환경기반연구부
  • 연락처 : 032-560-8304
  • 최종 업데이트일 : 2019년 12월 06일
  • 이동
  • 이동
  • 이동
(우)22689 인천 서구 환경로 42(종합환경연구단지) 대표전화: 032-560-7114
Copyright ©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