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환경과학원 +Pride

통합검색

트렌트 키워드

인기검색어

  1. 검색어가 없습니다.

연구분야

물환경

물환경연구

물순환 회복으로 건강하고 풍부한 물환경 조성

실효적 유역관리를 위한 과학기술 선도
첨단기술 융합 하천·호소 연구
생태가 공존하는 수자원 관리 연구
지속가능하고 안전한 물이용 체계 고도화
유역 맞춤형 현안대응 연구

조직도 및 연락처
  • 연구부서 소개

    물환경연구부
    Water Environmental Research Department

    물환경연구부는 물환경이슈와 통합 물관리 정책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4대강별 물환경센터와 수자원연구과, 물이용연구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각의 물환경센터는 각 유역별 물환경 측정망(수질, 총량, 퇴적물, 자동측정망, 방사성물질, 생물측정망 등)을 운영하고 유역별 중점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한강통합물환경센터는 수질오염 사고 및 녹조 현안 대응, 수질(녹조) 예측, 물환경 평가〮예측 등 공공수역 물환경연구를 총괄하고, 낙동강물환경센터는 미량오염물질 조사ㆍ연구, 금강물환경센터는 비점오염저감 및 물순환 개선을 위한 조사ㆍ연구, 영산강물환경센터는 하수방류수 수질기준, 수질유해물질 관리방안 마련 및 하수 최적처리기술에 대한 연구 등 유역별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현장 중심의 R&D 연구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수자원연구과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 영향 및 홍수·가뭄 대응, 물수요 관리 및 배분에 관한 연구, 총량관리,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물이용연구과에서는 먹는물 및 수질 환경기준 설정, 폐수 배출허용기준 및 산업폐수 관리체계 선진화, 먹는 샘물 및 정수기 규격, 환경미생물 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물환경연구부는 다양한 첨단기술을 융합하여 생태가 공존하는 수자원 및 물이용 연구, 유역 맞춤형 현안 대응 연구 등을 통해 국가 물환경 관리의 컨트롤타워 기능을 수행하고, 통합물관리정보플랫폼을 통한 대국민 수질정보 서비스 제공 및 현안 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소속부서
    • 한강통합물환경센터 (FAX: 032-568-2053)
    • 낙동강물환경센터 (FAX: 053-615-9707)
    • 금강물환경센터 (FAX: 043-733-9408)
    • 영산강물환경센터 (FAX: 062-970-3999)
    • 수자원연구과 (FAX: 032-568-2044)
    • 물이용연구과 (FAX: 032-563-7085)
  • 한강통합물환경센터
    Han River Environmental Research Center

    한강통합물환경센터는 인천 서구(인천 연구소)와 경기도 양평군(양평 연구소)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인천 연구소는 전국 주요 하천의 수질변화와 조류 발생을 총괄 모니터링하고, 수질(조류)예측시스템을 가동하여 수질(녹조) 악화를 사전에 예방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수질오염사고가 발생할 경우 사고대응시스템을 즉각 가동하여 오염물질의 확산범위를 예측하고 최적의 대응 방안을 신속히 제공하고 있습니다.

    물관리 현안 해결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국민에게 다양한 물정보를 일원화된 창구를 통해 제공하기 위해 통합물관리정보플랫폼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 외 수질, 수량, 수생태를 통합한 차세대 물환경 평가지표 마련, 인공지능을 활용한 물환경 예측력 향상, 해법 지향적 녹조 연구 등 첨단 기술을 융합한 R&D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한강 연구소는 물환경 평가〮예측을 위한 기반자료를 생산하고, 수질오염총량제를 지원하기 위해 팔당호를 포함한 한강 수계의 다양한 물환경측정망(수질, 총량, 퇴적물, 자동측정망, 방사성물질, 생물측정망 등)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환경 현안인 한강 상수원 냄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환경유전자를 이용한 한강 상수원의 냄새 물질 탐색 및 예측 시스템을 마련하고 있으며, 한강권역 조류발생 및 제어 등에 관한 조사ㆍ연구 등을 수행하는 등 현장 중심의 R&D 연구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한강 물환경 생태관을 운영하여 매년 환경단체, 학교, 연수원으로부터 방문한 4,000여명에게 환경생태 및 현장환경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주요업무
    • 한강권역 물환경측정망(수질, 총량, 퇴적물, 자동측정망, 방사성물질, 생물측정망 등) 운영에 관한 사항
    • 수질예측모델 및 독성물질 확산모델 연구
    • 수질항목별 수질예측기법 개발 및 수질예측시스템 구축ㆍ운영
    • 한강유역 현안해결을 위한 현장 중심 R&D 연구
    • 수질오염사고 실시간 대응시스템 개발 및 운영
    • 한강권역 유역 오염원 및 오염발생 특성에 관한 연구
    • 수질(자동)측정망 운영 총괄 및 평가에 관한 조사ㆍ연구
    • 한강권역 수질오염사고 대응 및 원인규명에 관한 조사ㆍ연구
    • 전국 단기 및 중ㆍ장기 수질변화 평가
    • 한강권역 수생태계에 관한 조사ㆍ연구
    • 국가 물관리통합정보망의 구축 및 운영
    • 한강권역 조류발생 및 제어 등에 관한 조사ㆍ연구
    • 물환경 원격탐사 자료에 관한 조사ㆍ연구
    • 한강권역 환경생태에 대한 홍보 및 교육
    • 공공수역 방사성물질 기준에 관한 조사ㆍ연구
    • 공공수역 조류발생 및 제어에 관한 조사ㆍ연구
  • 낙동강물환경센터
    Nakdong River Environmental Research Center

    낙동강수계의 물관련 연구를 위하여 1994년에 낙동강수질검사소로 설립된 이후 낙동강물환경연구소로 운영되었으며, 2025년 낙동강물환경센터로 개편되었습니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2개의 수질측정센터(왜관, 매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낙동강물환경센터는 공공수역 상수 원수의 안전성 강화를 위한 미량오염물질 관련 조사ㆍ연구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낙동강 중류에 위치한 왜관수질측정센터(칠곡군 기산면)와 하류에 위치한 매리수질측정센터(김해시 상동면)의 운영을 통해 낙동강수계 미량오염물질을 모니터링하고, 해당 물질들의 분석법을 확립하고 있습니다.

    낙동강권역의 환경현안을 정확히 파악하고 효과적인 해결안을 도출하기 위해 유역의 진단과 평가, 수질 예측 및 비점오염원 관련 조사·연구를 추진하고 있으며, 수계의 장기 수질특성 및 거동 파악을 위해 수질오염 특성에 관한 조사ㆍ연구, 물환경측정망 운영 및 정밀조사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낙동강수계 녹조 발생 대응을 위해 조류경보제 운영 및 조류 발생원인 규명, 생물기원성 유해물질 조사·연구를 추진하고 있으며, 낙동강권역 수생태계 조사ㆍ연구 통해 수생태계 건강성을 제고하여 생태계 서비스를 증진하고자 노력 하고 있습니다.

    주요업무
    • 낙동강권역 유역 오염원 및 오염발생 특성에 관한 연구
    • 공공수역 신규미량오염물질 탐색 구축 및 운영
    • 낙동강권역 수리ㆍ수문, 수질평가 및 예측에 관한 조사ㆍ연구
    • 낙동강권역 상수원 보호 및 수질개선을 위한 조사ㆍ연구
    • 낙동강권역 물환경 오염물질의 거동 및 통합독성에 관한 조사ㆍ연구
    • 낙동강권역 물환경 오염물질의 분석법 및 정도관리에 관한 조사ㆍ연구
    • 낙동강권역 수질오염사고 대응 및 원인규명에 관한 조사ㆍ연구
    • 낙동강권역 수생태계에 관한 조사ㆍ연구
    • 낙동강권역 노로바이러스 감시체계 운영
    • 낙동강권역 조류경보제 운영에 관한 사항
    • 낙동강권역 조류발생 및 제어 등에 관한 조사ㆍ연구
    • 낙동강권역 생물기원성 화학물질에 관한 조사ㆍ연구
    • 낙동강권역 수질측정센터의 운영
    • 공공수역 미량오염물질에 관한 조사ㆍ연구
    • 공공수역 미량오염물질 D/B 구축 및 관리에 관한 사항
    • 낙동강권역 물환경측정망(수질, 총량, 퇴적물, 자동측정망, 방사성물질, 생물측정망 등) 운영에 관한 사항
  • 금강물환경센터
    Geum River Environmental Research Center

    충청북도 옥천군에 위치한 금강물환경센터는 금강수계를 비롯하여, 만경ㆍ동진강 수계와 삽교천수계 등을 포함하는 금강권역의 물환경 보전을 위해, 첨단분석장비를 활용한 국가 물환경측정망(수질/총량/퇴적물/방사성물질 측정망 등) 운영, 공공수역 수질 개선과 상수원 보호를 위한 현장 중심의 조사ㆍ연구, 수질오염물질의 발생 및 거동 특성 연구, 수질오염총량 정책 지원을 위한 수질 분석 및 유량 관측 업무 등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특히, 상수원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대청호, 보령호 및 금강 본류를 대상으로 조류경보제를 운영하고 있으며, 연중 녹조 발생 현황 모니터링, 녹조 발생 요인 및 특성 분석 연구, AI와 센서 기술을 활용한 녹조 발생 예측 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비점오염을 저감하고 물순환을 촉진하고자, 비점오염원 관리지역 지정제도 정책 지원, 비점오염관리 대책의 수립 및 이행평가, 국가 불투수면적률 산정 등 비점오염 저감 및 물순환 개선을 위한 조사ㆍ연구 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주요업무
    • 금강권역 물환경측정망(수질, 총량, 퇴적물, 자동측정망, 방사성물질, 생물측정망 등) 운영
    • 금강권역 현안 해결을 위한 현장 중심 R&D 연구
    • 금강권역 유역 오염원 및 오염발생 특성에 관한 연구
    • 금강권역 상수원 보호 및 수질개선을 위한 조사 ·연구
    • 금강권역 물환경 화학물질의 거동 및 분석에 관한 조사 ·연구
    • 금강권역 조류경보제 운영
    • 금강권역 조류발생 및 제어 등에 관한 조사 · 연구
    • 비점오염원 관리와 관련된 제도 및 기술적 사항에 대한 검토 연구
    • 물순환 회복 및 촉진에 관한 조사 · 연구
  • 영산강물환경센터
    Yeongsan River Environmental Research Center

    영산강물환경센터는 하수배출 특성, 하수처리 기준·기술개발 및 하수 재이용에 관한 연구와 영산강권역의 수질측정센터를 포함한 물환경측정망 운영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물환경 변화로부터 발생되는 문제점을 정확히 진단하고 해결하기 위한 현장중심의 조사와 연구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분야는 하수관리 선진화를 위해 방류수 수질기준, 수질유해물질 관리방안 마련 및 하수 최적처리기술 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속 정확한 측정분석 방법과 정밀한 정도관리 기반으로 수질측정센터 및 물환경측정망을 운영하고 있으며 선진화된 측정분석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영산강권역 공공수역의 기초조사와 수질 현상을 해석, 예측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주요업무
    • 하수배출 특성, 처리 기준 및 기술개발에 관한 조사ㆍ연구
    • 물 재이용(중수도 및 하수 재이용 등)에 관한 조사ㆍ연구
    • 영산강권역 수질측정센터의 운영
    • 영산강권역 물환경측정망(수질, 총량, 퇴적물, 자동측정망, 방사성물질, 생물측정망 등) 운영
    • 영산강권역 조류경보제 및 노로바이러스 감시체계 운영
    • 영산강권역 물환경 오염물질의 분석법 및 정도관리에 관한 조사ㆍ연구
    • 영산강권역 유역 오염원 및 오염 발생 특성에 관한 연구
    • 영산강권역 상수원 보호 및 수질개선을 위한 조사ㆍ연구
    • 영산강권역 수질오염사고 대응 및 원인규명에 관한 조사ㆍ연구
    • 영산강권역 수생태계에 관한 조사ㆍ연구
    • 영산강권역 영산강권역 조류발생 및 제어 등에 관한 조사ㆍ연구
  • 수자원연구과
    Water Resources Research Division

    수자원연구과는 수자원관리를 위한 정책지원 및 과학적 기술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의 영향 및 적응 방안에 관한 연구, 효율적 물수요 관리 및 물배분에 관한 연구, 홍수 및 가뭄 대응을 위한 조사·연구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온전한 수생태계 보전을 위해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평가 및 생물측정망 운영, 수생태계 연속성 확보에 관한 연구 등을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환경생태유량 확보, 수생태계 변화 예측과 생태복원 기법 등 기후변화 대응 연구를 선제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과 관련된 정책을 효율적으로 수립·추진하기 위해 농경지에 살포된 가축분뇨 퇴·액비의 시비로 인한 환경오염 영향 실태를 조사·평가하고 있으며, 생활계, 축산계, 산업계 등의 전국수질오염원조사 및 오염원 자료에 대한 과학적 검증을 통한 표준화되고 신뢰도 높은 자료를 생산하고 대국민 공개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수질오염총량관리를 위한 총량관리제도 및 기술개발에 관한 조사·연구, 총량관리 대상물질 및 목표수질 설정을 위한 연구, 총량측정망 운영 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4대강특별법 관련규정에 따라 오염총량관리 조사·연구반 운영과 이를 지원하기 위한 수질총량관리센터 운영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주요업무
    •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의 영향 및 적응방안에 관한 연구
    • 효율적 물수요 관리 및 물배분에 관한 조사ㆍ연구
    • 홍수 및 가뭄 대응을 위한 조사ㆍ연구
    • 수질오염총량관리를 위한 제도 및 기술개발에 관한 조사ㆍ연구
    • 수질오염총량관리 대상물질 및 목표수질 설정을 위한 연구ㆍ개발
    • 수질오염총량관리를 위한 조사ㆍ연구반 및 수질총량관리센터의 운영
    • 수질오염총량관리를 위한 측정망 관리
    • 수질오염총량관리를 위한 정보체계의 구축 및 운영
    • 전국 수질오염원정보의 조사 및 검증
    • 수질오염물질 국가배출량 산정 및 관리
    • 가축분뇨와 농경지의 양분 관리 관련 제도 및 기술적 사항에 대한 조사ㆍ연구
    • 가축분뇨 등에 의한 환경오염 조사ㆍ평가에 관한 연구
    •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ㆍ평가에 관한 연구 및 생물측정망 운영 총괄
    • 환경생태유량 산정 및 확보에 관한 조사ㆍ연구
    • 수생태계 연속성 확보에 관한 조사ㆍ연구
    • 수생태계 변화 예측과 유역 및 수생태계 복원에 관한 조사ㆍ연구
  • 물이용연구과
    Water Use & Management Research Division

    물이용연구과는 지속가능하고 안전한 물환경 조성을 위해 공공수역 수질환경기준을 사람의 건강보호 뿐만 아니라 수생태계 건강성도 확보되도록 확대〮강화하고 수질의 이화학적 변화·특성 및 공공수역 오염방지에 관한 연구를 역점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주요 수질유해물질의 실태조사, 감시항목 운영 등을 통해 배출허용기준을 설정 하는 등 폐수 배출원 관리를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증가 추세인 신종 오염배출원 폐수의 적정 처리 및 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와 염에 의한 생태독성 증명에 관한 제도 운영 및 염인정 시설 운영 실태조사를 함께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먹는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수돗물, 먹는샘물에서의 미량유해물질 모니터링과 이를 바탕으로한 위해도 평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선진화된 먹는물 수질기준/감시항목 설정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안전한 수돗물 공급을 위해 정수처리 기준 및 처리기술, 수처리제 기준 등에 대한 연구와 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 및 한국산업표준 제·개정을 통한 시험방법의 선진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물환경에서의 유해 미생물 통합 감시체계 구축을 위해 병원성 미생물 및 항생제 내성균 조사 연구 등을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주요업무
    •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에 관한 조사·연구
    • 공공수역의 오염방지에 관한 조사·연구
    • 퇴적물 오염평가기준 설정 및 평가에 관한 조사·연구
    • 수질오염물질 지정 및 배출허용기준에 관한 조사 · 연구
    • 수질오염물질 배출특성 및 적정 처리방법에 관한 조사 · 연구
    • 생태독성통합관리제도에 관한 조사 · 연구
    • 먹는물의 수질기준 설정에 관한 조사·연구
    • 먹는물 정수처리 기준 및 처리기술 등에 관한 조사ㆍ연구
    • 수처리제 자가기준ㆍ규격 인정 및 시험방법에 관한 업무
    • 먹는물 수질 및 수처리제ㆍ정수기 성능 등 검사기관의 지정ㆍ관리에 관한 사항
    • 먹는샘물·정수기의 규격기준 및 시험방법에 관한 조사·연구
    • 환경미생물의 제반 기준 및 시험방법에 관한 조사ㆍ연구
    • 환경 중 유해미생물 거동특성 및 오염방지에 관한 조사ㆍ연구
    • 노로바이러스 오염실태 조사에 관한 사항
    • 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먹는물, 수질 분야) 표준화 및 제·개정에 관한 조사 · 연구
    • 한국산업표준 제 ·개정(상하수도, 수질, 미생물 분야) 및 국제 표준화 협력에 관한 사항
  • 연구과제

    • 미호강수계 미량오염물질 배출 특성 조사·분석
      소속부서 물환경연구부 - 금강물환경센터
      (舊) 국립환경과학원 - 금강물환경연구소
      연구기간 20230801 ~ 20231231
    • 하수기반 감염성 병원체 거동 평가 및 유역건강성 확보 방안 마련 연구
      소속부서 물환경연구부 - 물이용연구과
      (舊) 환경기반연구부 - 상하수도연구과
      연구기간 20230703 ~ 20240228
    • TOC 맞춤형 총량제 도입 연구(II)
      소속부서 물환경연구부 - 수자원연구과
      (舊) 물환경연구부 - 유역총량연구과
      연구기간 20230615 ~ 20240614
    • 정수장 활성탄 규격기준 및 수급체계 개선 연구
      소속부서 물환경연구부 - 물이용연구과
      (舊) 환경기반연구부 - 상하수도연구과
      연구기간 20230613 ~ 20240112
    • 수생태계 복원 표준모델 정립을 위한 참조하천 선정 및 정책 활용방안 연구
      소속부서 물환경연구부 - 수자원연구과
      (舊) 물환경연구부 - 물환경공학연구과
      연구기간 20230612 ~ 20240108
    • 정수장 신종관심 미량물질 함유실태 조사(2023)
      소속부서 물환경연구부 - 물이용연구과
      (舊) 환경기반연구부 - 상하수도연구과
      연구기간 20230608 ~ 20240124
    • 인공지능플랫폼 및 수질오염사고 분석체계 개발
      소속부서 물환경연구부 - 한강통합물환경센터
      (舊) 물환경연구부 - 물환경평가연구과
      연구기간 20230605 ~ 20240331
    • 하천시설 연계운영 효과분석 및 개선방안 마련
      소속부서 물환경연구부 - 한강통합물환경센터
      (舊) 물환경연구부 - 물환경평가연구과
      연구기간 20230602 ~ 20240128
    • 먹는물 수질기준 설정 및 운영 체계 개선 연구(II)
      소속부서 물환경연구부 - 물이용연구과
      (舊) 환경기반연구부 - 상하수도연구과
      연구기간 20230530 ~ 20231226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 물환경연구부
  • 연락처 : 032-560-7355
  • 최종 업데이트일 : 2019년 12월 06일
  • 이동
  • 이동
  • 이동
(우)22689 인천 서구 환경로 42(종합환경연구단지) 대표전화: 032-560-7114
Copyright ©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