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이행 및 기후위기 적응 연구
탄소중립∙무공해 모빌리티 전환체계 구축 연구
통합환경관리제도 연구
기후·환경변화 및 개발영향 예측·평가 연구
측정분석 신뢰도 향상
기후탄소연구부는 탄소중립이라는 국가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기후 정책의 수립 및 이행을 지원하기 위한 과학적 근거 마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4과 1센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후변화연구과에서는 국가 온실가스 측정·감시 및 적응정책 수립, 탄소중립 이행 지원을 위한 적응정보 표준화 연구 및 플랫폼 구축, 온실가스 관측 연구, 국제상호인정협정 체결 및 정책 지원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모빌리티환경연구센터는 모빌리티 분야 탄소중립·무공해 모빌리티 전환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자동차 온실가스 전과정평가(LCA) 방법에 관한 연구와 중소 부품사의 LCA 기술지원을 추진하고 있으며, 전기차 성능평가 방법 개선 및 사후관리 검증체계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통합환경관리연구과에서는 산업의 녹색전환을 위한 혁신적 통합환경관리제도 수립을 위해 과학∙기술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기후국토환경연구과는 지속가능한 국토환경 조성을 위해 기후·환경변화 및 개발영향 예측·평가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환경표준연구과는 환경분야 측정분석 결과의 신뢰도 향상, 환경표준 , 환경동위원소 분석 및 바이오매스 직접측정 등 실용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연구과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기본법, 온실가스 배출권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국가 기후위기 영향평가 및 적응정책 수립, 국가 온실가스 관측시스템 구축,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정책 효과 분석과 기술 및 정책 개발 등을 수행 중입니다.
과학적 기후위기적응정책 수립∙이행∙평가를 위한 관련 조사 연구 및 적응정보 통합플랫폼 구축 운영, 기후위험정보 생산 및 제공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후변화 감시를 위해서 온실가스 모니터링 체계 구축 및 지구대기측정망 운영, 온실가스 농도 상시 측정조사 및 배출특성에 관한 연구도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 국제기준(ISO)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검증기관 및 국제항공 탄소상쇄감축제도(CORSIA) 검증기관 지정·관리·운영과 국가간 배출권거래제 연계 및 탄소시장 연계 등에 필요한 상호인정협정(MLA)을 국제인정기구(IAF)와 체결하여 온실가스 검증분야에 대한 국제적 역량을 인정받았습니다.
또한 온실가스 및 대기오염물질을 동시에 고려하는 정책 이행을 지원하기 위해 기후·대기통합 연구를 수행하고, 전 지구 및 지역규모의 기후-대기환경 통합 시스템을 운영하고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모빌리티환경연구센터는 탄소중립·무공해 모빌리티 전환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자동차 온실가스 전과정평가(LCA) 방법에 관한 연구와 중소 부품사의 LCA 기술지원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기차 성능평가 방법 개선 및 사후관리 검증체계를 연구하고, 자동차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종합관리시스템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한편 탄소저감 기술이 적용된 신규 모빌리티(내연기관 부분 전동화 차량 및 수소연료전지 차량, 수소연소엔진적용 차량, 대체연료 차량)에 대한 환경성 신규 평가 방법 연구와 이동오염원 비배기계 마모입자의 규제 도입 및 관리제도를 추진 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기존 내연기관의 환경성 평가를 위한 배출가스 환경인증, 소음 인증, 자동차 환경관련 측정 장비의 형식승인과 연료첨가제 및 촉매제의 시험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통합환경관리연구과는 산업계 탄소중립 실현과 오염저감을 목표로 환경관리 및 제도개선 연구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환경오염시설 오염물질 배출을 최적가용기법( BAT)을 연구·보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산업계 녹색전환을 지원하기위해 ESG 경영연구와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스마트 통합환경관리 시스템 및 빅데이터 및 AI를 활용한 사후관리 체계연구를 통해 기업의 자율적인 환경관리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 환경의 질 목표 설정 및 배출영향분석 모델 고도화 연구를 통해 과학적이고 실효성 있는 환경정책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기후국토환경연구과는 지속가능한 국토환경 조성을 위해 기후·환경변화 및 개발영향 예측·평가 연구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지자체 환경보전계획 수립 지원을 위해 환경정보지도 구축기법 등 공간정보를 활용한 국토환경계획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영향평가 및 환경영향평가서등 검토와 기후/환경영향평가 개선을 위한 각종 지표와 예측기법 개발ㆍ적용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후 ·환경영향평가 관련 데이터의 관리 및 활용을 위한 정보시스템을 구축·운영하고 있습니다.
환경표준연구과는 전국의 모든 환경시험 ·검사기관을 대상으로 시험실에 대한 정도관리 능력 향상을 위하여 정기적으로 숙련도 시험 및 현정평가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환경분야 국가표준(KS) ·국제표준(ISO), 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의 제 ·개정 및 환경측정기기의 구조 ·규격 ·성능에 대한 형식승인 및 정도검사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환경연구전략장비를 운영하고 있으며, 과학적 탄소배출량 분석을 위한 바이오매스 직접측정 체계 구축 및 환경동위원소비를 이용한 환경과학수사연구 기반 조성 등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